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743)
좋은 에너지를 발산하는 블로그?! 좋은 에너지를 발산하는 블로그?! 제가 가장 좋아하는 팝가수는 I’m yours라는 곡으로 꽤 유명한 ‘제이슨 므라즈’입니다. I’m yours라는 곡에 반하여 제이슨 므라즈의 앨범을 하나씩 파고 들어 이제는 차안에서 기분이 울적 할 때마다 자주 제이슨 므라즈의 수많은 노래들을 틀어놓고 흥겨운 그의 해피 바이러스에 흠뻑 빠져들곤 합니다. 세상엔 정말 노래를 잘하는 가수들이 많지만, 제가 제이슨 므라즈의 음악을 애지중지하며 유난히 아끼는 이유는,다른 가수들의 구슬프고 조금은 정신없는 사운드와는 달리 그의 음악은 매우 행복한 기운을 저에게 전해주기 때문입니다. possan님이 일부 권리를 보유함 저는 저의 블로그도 제이슨 므라즈의 음악처럼 흥겹고 행복한 해피 바이러스를 전해주는 1인 미디어로 만들고자 하는 ..
돌고 도는 IT이슈들, 진정한 시작은 누구인가? 돌고 도는 IT이슈들, 진정한 시작은 누구인가? 뉴스, 블로그, 외신, 각종 미디어들을 통해 쏟아지는 IT기사와 글들을 읽고 있노라면 무엇이 처음이고 어떤 것이 첫 시작인지를 분간하기 힘든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인터넷 문화의 발달로 국외에서 시작된 기사가 단 몇 분만에 국내로 들어오기도 하고, 블로그에서 만들어진 글들이 기사로 변형되기도 하며, 여러 외신에서도 유명 블로그의 글들을 인용 보도하는 것이 너무나도 자주 발견되는 지금 ‘첫 IT이슈를 던진 장본인은 누구인가?’ 에 대한 의문을 가질 수 밖에 없습니다. pobre.ch님이 일부 권리를 보유함 물론 누가 어떤 자료를 가지고 ‘그 글을 만들어냈는가?’가 그렇게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도 있지만, 이런 현상이 자주 반복되면서 ‘진실 혹은 거짓’의 경..
스마트폰 크기 논란, 국내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스마트폰 크기 논란, 국내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최근에 CNN에서 갤럭시S3가 28개 국가에서 동시에 판매된다는 기사를 읽어본 적이 있습니다. 외신에서 갤럭시S3에 대하여 꽤 비중 높게 다루고 있어서 그런지, ‘삼성이 스마트폰 시장에서 확실히 꽤 높은 위상을 차지하고 있구나~’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대한민국의 한 사람으로서 치열한 경쟁이 끊이지 않는 IT최전방 사업 분야에서 국내 기업의 제품이 매우 주요하게 다루어지는 것을 보니 자랑스럽고,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습니다. vernieman님이 일부 권리를 보유함 하지만, 그런 기분 좋은 감상도 잠시뿐, 기사 밑에 달려있는 국외 여러 네티즌들의 댓글을 보고 있자니 뭔가 찜찜한 기분을 지울 수가 없더군요. 갤럭시S3 관련기사 댓글에는 조루 베..
구글의 크롬, 끊임없이 진화 중인가? 구글의 크롬, 끊임없이 진화 중인가? 얼마전 구글의 크롬 웹브라우져가 MS의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제치고 시장 점유율 1위 자리를 차지했다는 소식이 대대적으로 보도되었습니다. 저 역시 언젠가는 ‘크롬이 익스플로러를 제칠 날이 오겠지?’라고 나름 예상은 했었지만, 그 시점이 이렇게까지 빨라질 줄은 솔직히 생각하지 못했었습니다. MS골수 유저들에게 무한 신뢰를 받고 있던 익스플로러의 역사와 전통을 생각할 때 크롬의 성장은 너무나 발빠른 것이기 때문이였죠. toprankonlinemarketing님이 일부 권리를 보유함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구글 크롬에게 1위 자리를 내어준 이유는 매우 간단합니다.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여러가지 패치들과 툴바 등의 난무로 지저분해져 있던 인터넷 환경을 구글이 크롬이라는 새로운 ..
페이스북, M&A로 발사 장전 완료?! 페이스북, M&A로 발사 장전 완료?! 구글이 IT의 최정상 위치에 서기까지 인수합병한 기업들의 숫자를 살펴보면 약 20개정도의 기업이 됩니다. 마치 SF영화에서 아무런 무기가 없는 로보트가 최첨단 무기를 자신의 팔과 다리 그리고 몸에 부착하듯, 주식상장으로 확보한 자금으로 구글은 가능성 있는 기업들을 자신의 편으로 끌여 들였고, 과거의 이 투자로 인해 구글맵, 구글 플러스, 안드로이드OS 등 검색 시장 외에도 수많은 서비스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선점하게 되었습니다. birgerking님이 일부 권리를 보유함 현재 과거에 구글의 이런 행보와 매우 흡사한 절차를 밟고 있는 기업이 바로 마크 주크버그의 페이스북인데요. 각종 외신을 떠들썩하게 했던 인스타그램 인수를 비롯해서, 모바일 웹브라우저 업체인 오페라 그..
스마트폰, 다음 발전 타겟은 게임 산업이 아닐까? 스마트폰, 다음 발전 타겟은 게임 산업이 아닐까? 손 안의 작은 PC라는 스마트폰은 2007년 스티브 잡스의 아이폰3를 시작으로 세상에 나아와 각 개인에게 더 다양한 인터넷 문화를 확산 시키며 기존의 시장을 송두리째 변화시켜 버렸습니다. 특히,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을 비롯한 여러 SNS의 등장은 기존의 인터넷 문화에 엄청난 파장을 불러 일으켰는데요. SNS의 빅히트가 가능할 수 있었던 것은 스마트폰이 빠른 속도로 텍스트와 사진을 실시간으로 여러 사람들과 공유하게 만들어 주었기 때문입니다. kowitz님이 일부 권리를 보유함 이제 스마트폰의 스펙은 SNS를 즐기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는 수준에 이르렀고, MP3, 동영상, 문서 뷰어의 기능으로서도 거의 완벽에 가깝다고 해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그러..
스티브 잡스의 2007년 Keynote를 기억하는가? 스티브 잡스의 2007년 Keynote를 기억하는가? 애플의 아이폰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 꼭 한번쯤은 봐야 할 것이 있다면 그것은 아마도 스티브 잡스가 2007년 1월 10일 센프란시스코에서 했던 프리젠테이션이 아닐까라고 여겨집니다. 저의 경우, 이 동영상을 자주 되새김질해서 봤지만, 몇 번이고 이 프리젠테이션을 감상할 때면 ‘아~’ 라는 감탄사가 입에서 멈추질 않습니다. 정말 너무나도 완벽해서 흠잡을 때가 없으리만큼 철저하게 새로운 기기를 만들어낸 스티브 잡스에 대한 존경심 같은 것이랄까요? lwpkommunikacio님이 일부 권리를 보유함 아이팟, 폰, 인터넷 커뮤니케이션을 들먹이며 왜 지금까지 다른 스마트폰들은 실패했는지를, 그리고 애플이 제시하는 이 기기가 얼마나 엄청난 것인지를 잡스는..
파워 블로거는 멋진 요리사와 같다?! 파워 블로거는 멋진 요리사와 같다?! 인터넷, 책, 잡지, 신문 등 세상엔 정말 수많은 정보와 자료들이 넘쳐납니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이러한 것을 자신의 실생활을 위해 참고하기도 하고, 또 어떤 이들은 이런 자료들을 자신의 생각과 사고방식으로 잘 정리하여 색다른 느낌으로 글을 생산한 후 인터넷에 게재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모두가 글을 잘 생산해내는 것이 아니라, 같은 자료를 참고함에도 불구하고 어떤 이들은 매우 지루하고 재미없는 글들을 생산해내기도 하죠. Skånska Matupplevelser님이 일부 권리를 보유함 마치, 같은 재료를 가지고 동일한 요리를 하더라도, 어떤 요리사가 요리를 하느냐에 따라 음식의 ‘맛이 확연히 달라진다’ 것과 동일한 현상이라고나 할까요? 그래서, 저는 ‘파워 블로거란..

반응형